칼 바르트와 테드 피터즈: 문화 내러티브 접근 > Workshop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News

Workshop

칼 바르트와 테드 피터즈: 문화 내러티브 접근

공공신학 2025-06-26  

내러티브 프로렙시스종교그리고 사회 생물학:

공공 신학의 관점

정승훈 교수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칼 바르트의 빛들과 말씀들의 교리에서 이해 가능한 우주의 지성에 대한 바르트의 신학적 반성을 테드 피터스의 프로렙시스 신학과 연결하는 것이다이러한 비교 연구를 나는 에드문드 후설의 생활 세계 이론을 통해 시도한다다 학제적 구성에서이 논문은 자연 과학에 접근하는 공공 신학을 해명하며성서의 내러티브와 생활 세계를 기초로 프로 렙시스를 재정의하는 것은 중요하다성서의 프로렙시스 관점에 대한 내러티브적 접근을 통해 나는 스토아의 로고스론을 비판적으로 다루며그 한계를 검토한다또한피터스의 포스트모던 유기체적 홀리즘(holism)을 바탕으로 바르트의 하나님의 동행이론을 재구성한다후자는 바르트에게서 과학신학의 기초 역할을 하며사회 생물학에 대한 비판을 포함한다마지막으로 사회 생물학에 대한 피터스의 비판적 언급과 드보라 고르돈의 입장을 살펴보겠다

0b78b38824f1d0c8ff398b414e9c6d9c_1750901097_7.jpg



International Public Theology in Forum-Center, Seoul Extension
공공신학과 시민사회 포럼 연구소

[04356] 서울특별시 용산구 새창로12길 11-18 용산제일교회 Tel. 02-717-069
Copyright(C) 2025 공공신학과 시민사회 포럼 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Produced by S.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