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li-Matti Kärkkäinen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Professors

Veli-Matti Kärkkäinen

Veli-Matti Kärkkäinen

MEET  Veli-Matti Kärkkäinen

s2_3P1.jpg

In this publication, Paul Chung interviews Veli-Matti Kärkkäinen,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Pasadena. He is an ordained minister of Evangelical Lutheran Church and a well-known outstanding ecumenical theologian. With a Finnish background, he specializes in comparative and interdisciplinary constructive theology, He is also an expert on Pentecost-charismatic churches. He is the Docent of Ecumenics at the University of Helsinki.

이 소개의 글에서 나는 풀러 신학교의 조직신학 교수인 벨리-마티 카르카이넨과 인터뷰를 진행한다. 그는 개신교 루터교회의 목사이자 잘 알려진 에큐메니칼 신학자이다. 핀란드 배경을 가진 그는 비교종교와 학제적 소통을 기초로 한 대화를 구성신학으로 발전시킨다. 오순절-카리스마 교회에 대한 전문가이기도 하다. 그는 헬싱키 대학교의 생태학 교수로도 활동한다.

Kärkkäinen is a renowned scholar who offers an ecumenical worldwide introduction to Christian doctrines such as pneumatology, Trinity, ecclesiology, and Christology. Remarkably, he has published the five-volume systematic theology series: Constructive Christian Theology for the Pluralistic World (Eerdmans, 2013-17) and the ensuing academic textbooks, including Christian Theology in the Pluralistic World and Doing the Work of Christian Theology summarizing this remarkable academic achievement.

카르카이넨은 신학의 교리인 성령론, 삼위일체론, 교회론, 그리스도론 등을 체계적으로 포괄적으로 소개하는 저명한 학자이다. 놀랍게도, 그는 다섯 권으로 구성된 조직신학 시리즈인 (Eerdmans, 2013–2017)과 그에 따른 학술 교과서들 과 <기독교 신학의 작업 수행>을 출판하여 놀라운 학문적 성과를 토로했다.

It puts Christian theology in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global diversity in a sympathetic and critical dialogue with natural and behavioral sciences as well as four living faiths, namely Judaism, Islam, Buddhism, and Christianity. This is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religions that such a work has been published. Differently from many comparative theology academicians, he also has the field-experience in living with his family and working in a multireligious environment, Thailand where—in Thai—he taught Thai pastors, ministers, and church leaders—for many years. 

카르카이넨 교수는 기독교 신학을 역사적이고 현대적인 세계적 다양성에서 자연과 행동과학, 그리고 유대교, 이슬람, 불교, 기독교라는 네 가지 살아 있는 신앙과의 공감적이고 비판적인 대화에 자리매김한다. 이런 작업은 종교 역사상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많은 비교신학 학자 들과는 달리, 그는 태국에서 가족과 함께 살며 다종교 환경에서 일한 현장 경험도 가지고 있다. 태국에서 그는 태국인 목사, 사제, 교회 지도자들에게 태국어로 수년 동안 가르쳤다.

His contributions to Christian constructive theology and comparative religions are featured in Eerdmans Author Interview Series. The constructive theology is a substantial aspect of public theology, engaging in science-religion relations, comparative theology, and interreligious dialogue, among other topics. We at Forum-Center are pleased to work with Kärkkäinen and contribute to worldwide public theology, particularly in terms of comparative theology in a pluralistic environment. 

카르카이넨 교수의 기독교 구성신학과 비교종교에 대한 기여는 Eerdmans 저자 인터뷰 시리즈에 소개되었다. 구성신학은 공공신학의 중요한 측면으로서 과학과 종교의 관계, 비교 신학, 종교 간 대화 등 다양한 주제에 관여한다. 버클리 포럼 센터는 카르카이넨 교수와 함께 일하게 되어 기쁘며, 그와 더불어 우리는 특히 다원적 환경에서 비교신학의 측면에서 전 세계 공공신학에 기여하려고 한다.

The current situation has made our collaboration even more vital. To be more explicit, in the shadow conflict between Jews, Muslims, and Christians, Abrahamic dialogue has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agenda for peace, love, and mutual recognition. Comparative theology is essential in doing public theology.  

현재 상황은 우리의 협력을 더욱 필수적으로 만든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유대인, 무슬림, 기독교인 간의 갈등 속에서 아브라함적 대화가 평화, 사랑, 상호인정을 위한 가장 중요한 의제 로 떠오른다. 비교신학은 공공신학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다.

Public role of religion is becoming more widely recognized in sociology and political philosophy. Christian revelation is enlarged and elaborated by encounters with Buddhists or Hindus or Muslims, understanding other religious traditions within the universal history. Wolfhart Pannenberg and Jűrgen Moltmann remain mentors and interlocutors for Kärkkäinen to pursue his own intellectual journey.  

종교의 공적 역할은 사회학과 정치철학에서 더 널리 인식되고 있다. 기독교의 계시는 불교인, 힌두교인, 이슬람교인 등과의 만남을 통해 확대되고 구체화되며, 보편사 속에서 다른 종교 전통을 이해하게 된다.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와 위르겐 몰트만은 카르카이넨이 자신의 지적 여정을 추구하는 데 있어 멘토이자 비판적 대화의 상대자로 남아 있다.

Religious construction of social cultural reality allows us to see a broader spectrum of public religion and its critical function in shaping moral ethic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t fosters constitutional democracy and civil society while safeguarding the integrity of life-world. This feature contradicts the sociobiological resurgence of old social Darwinism which finds its impetus in Richard Dawkin’s selfish gene and Edward Wilson’s genetic determinism. 

종교적 사회문화 현실의 구성은 공공 종교의 더 넓은 스펙트럼과 인간의 도덕적·윤리적 이해를 형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능을 볼 수 있게 한다. 이는 사법적 민주주의와 시민사회를 촉진하면서 생활세계의 온전성을 보호한다. 이러한 특징은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와 에드워드 윌슨의 유전적 결정론에서 동기를 찾는 오래된 사회 다윈주의와 사회생물학적 재발과 대립한다.

Public theology must urgently investigate a new type of social integration of late modern society. It is focused with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democracy in the public realm. In such a relationship, religious beliefs must to be translated into secular language in order to facilitate effective communication. 

공공신학은 후기 현대 사회의 새로운 유형의 사회통합을 긴급히 경험적으로 조사한다. 공공신학은 공공영역에서 종교와 민주주의의 관계를 정의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러한 관계 에서 종교적 신념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기 위해 세속적 언어로 번역되어야 한다.

s2_3P2.jpg

Appreciation

Veli-Matti Kärkkäinen is dedicated to representing Christian constructive theology and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interreligious dialogue through the lens of comparative theology. His areas of interest include systematic theology within a global-ecumenical framework, reclaim recognition model, and lays the groundwork for ethically responsible life and Christian hope in a pluralistic environment.

In his Christian constructive theology he comes across as a multilingual theologian. He ha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he contextual thinking and the intercontextual constellations. The universal horizon of the Gospel can be enlarged and carried out by addressing God’s reconciliation with the world through Jesus Christ.     

     He is qualified to discuss the multilingual nature of public theology which contributes the church’s mission for civil society, politics of recognition, and justice for common good. His contribution consists in reinvigorating a public theology through the lens of comparative theology and interreligious engagement.

감사와 인정

벨리-마티 카르카이넨은 기독교 구성신학을 대표하고 비교 신학의 관점에서 종교 간 대화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데 관심이 있다. 그의 분야에는 세계-에큐메니컬 틀 내에서의 조직신학, 회복적 인식 모델, 그리고 다원적 환경에서 윤리적으로 책임있는 삶과 기독교 희망의 기초를 다지는 것이 포함된다.
그의 기독교 구성신학에서 그는 다국어를 구사하는 탁월한 신학자로 드러난다. 그는 상황적 사고와 상호 맥락적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철저히 이해한다. 복음의 보편적 지평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 세상의 화해를 다룸으로써 확장되고 실현될 수 있다. 그는 공공 신학의 다언어적 특성에 대해 논의할 자격이 있으며, 이는 교회의 시민 사회, 인정정치, 그리고 공공선을 위한 정의의 사명에 기여한다. 그의 기여는 비교신학과 종교 간의 참여를 통해 공공신학을 재활성화하는 데 있다.

30권 이상의 저술과 수많은 전문 신학 학술지에 실린 논문들은 아래를 참고.

A small sample of his other recent publications, covering over 30 books published in English and hundreds of essays and book chapters, are the following:
The Dialogic Evangelical Theology of Veli-Matti Kärkkäinen: Exploring the Work of God in a Diverse Church and a Pluralistic World
The End of All Things is at Hand: A Christian Eschatology in Conversation with Science and Islam (Eugene, OR: Cascade Books, 2022)
Theological Renewal for the Third Millennium. A Kärkkäinen Compendium, ed. Andrew Ray Williams and Patrick Oden (Eugene, OR: Cascade Books, 2022)
I Believe—Help My Unbelief! Christian Beliefs for Religiously Pluralistic and Secular World (Eugene, OR: Cascade Books, 2024).
For other publications, go to his Amazon page.



Interview with Veli-Matti Kärkkäinen   벨리-마티 카르카이넨과 인터뷰

Constructive Theology and Public Theology   구성신학과 공공신학

Clarification: Constructive Theology

As a leading systematic theologian in Christian constructive theology, you hav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pluralistic world. Could you tell us more about your constructive theology with an interdisciplinary focus? How does the Christian constructive theology explain the public role of religion, or how religion constructs social and cultural reality?

명확히 하기: 건설적인 신학

기독교 구성신학의 저명한 조직 신학자로서, 당신은 다원적 세계에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당신의 학제적 초점을 가진 구성신학에 대해 좀 더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기독교 구성신학은 종교의 공적역할이나 종교가 사회문화적 현실을 구성하는 지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나요?

Veli-Matti 

 Indeed, my journey over the many decades as a systematic and constructive theologian has not only taught me many lessons but also exposed many of my limitations. While it was natural for me to begin to teach and write theology in an ecumenical key as ecumenism was my major at the University of Helsinki doctoral and post-doctoral studies, it took me long time to learn more about the global diversity, including also the interfaith challenge. The years I lived with my family and taught theology in Thailand in the 1990s were a turning point in this regard. With joining Fuller Seminary in 2000—a theological seminary with three faculties, including also psychology and intercultural studies, alongside theology—further pushed me towards interdisciplinary theology. Particularly important has been the long-term dialogue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including also fields such as neurosciences and brain study in relation to what theology is saying about the human person and human nature.

For contemporary theology—and thus: religion—to speak to the contemporary world, there needs to be a robust public orientation. We are not only dealing with inner-church and spiritual issues, as important as they are. We also deal with issues in society and the world.

벨리-마티

실제로, 수십 년 동안 체계적이고 구성신학자로서의 여정은 저에게 많은 교훈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저의 많은 한계도 드러내 주었습니다. 헬싱키 대학교에서 박사와 교수자격 취득논문을 쓰면서 생태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신학을 가르치고 쓰기 시작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세계의 다양성, 특히 종교 간의 도전에 대해 배우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1990년대에 가족과 함께 태국에서 살먼서 신학을 가르쳤던 시절은 전환점이었습니다. 2000년에 풀러 신학교에 합류하면서—신학 외에도 심리학과 문화 간 연구를 포함한 세 개의 학부가 있는 신학 대학원—저를 더욱 학제적 소통신학으로 이끌 었습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신학이 인간과 인간본성에 대해 말하는 것과 관련하여 신경과학과 뇌연구와 같은 분야를 포함한 과학과 신학 간의 장기적인 대화였습니다.

현대 신학—그리고 따라서: 종교—가 현대 세계에 소통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공적지향이 필요 합니다. 우리는 교회 내부와 영적 문제들만 다루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들이 얼마나 중요한 지에 관계없이 우리는 또한 사회와 세계의 문제들도 다룹니다..

Relevance: Constructive Theology and Comparative Religion

Describe your constructive theology in respect to comparative theology. How would you distinguish the social scientific spectrum of public theology from commentarial comparative theology, and what would you add to public theology through the constructive lens of comparative theology. 

연관성: 구성신학과 비교종교학

비교신학에 대한 교수님의 구성신학의 관점을 설명해 주세요 어떻게 공공신학의 사회 과학적 스펙트럼을 주석적 비교 신학과 구별할 것이며, 비교신학의 구성적인 관점에서 공공 신학에 무엇을 추가할 수 있는가요?

Veli-Matti 

It seems to me that constructive theology can be done in many ways and one of them is decidedly oriented towards reflecting on issues in an interfaith environment. Just think about, for example, environmental issues or justice. While they can be considered within only one faith tradition—be it Christian or Muslim or Buddhist or any other—I see it very important to involve more than one’s own tradition. This kind of dialogical way of doing comparative theology both challenges Christian theology and also enriches it. After all, we all live in the same world whether we are followers of any religion or even if we are secular. To use a child-like illustration: We do not suffer from illness as Christians or Hindus or the secular; we suffer as human persons!

벨리-마티

제 생각에는 구성신학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분명히 종교 간 환경에서 문제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환경문제나 정의문제를 생각해 보세요. 그들이 기독교, 이슬람, 불교 또는 다른 어떤 신앙전통 안에서만 고려될 수 있지만, 나는 자신의 전통뿐만 아니라 여러 전통을 포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대화적인 방식으로 비교신학을 수행하는 것은 기독교 신학에 도전일 뿐만 아니라 그것을 풍요롭게 합니다. 결국, 우리는 모두 어떤 종교의 신자이든 아니든, 심지어 세속적이든 같은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어린아이 같은 비유를 사용하자면: 우리는 기독교인이나 힌두교인, 혹은 세속적인 사람으로서 병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병에 걸리는 것입니다!

Interaction: Local and Global Contexts   

How do you perceive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or contextual responsibilities and Christian constructive theology in an interreligious context? If you accept natural revelation, how can you safeguard the nonnegotiable position of Christian revelation in the Trinitarian sense?   

상호작용: 지역과 글로벌 맥락

종교 간 맥락에서 지역이나 또는 상황적 책임과 기독교의 구성신학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십니까? 자연계시를 받아들인다면, 삼위일체적 의미에서 기독교 계시의 비타협적 입장을 어떻게 지킬 수 있는가요?  

Veli-Matti

As is often—and rightly—noted nowadays, only that which is “local” can be “global.” Or to be more precise: it is diverse local interpretations and viewpoints in mutual sympathetic and critical dialogue with each other that both preserves the local “colors” and “tastes” while also providing testimony to the richness of human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e way to highlight this local/global mutuality is to talk about “glocal”!

Natural revelation in Christian understanding does not compromise or water down, as it were, the programmatically trinitarian foundation of faith and theology: As Christians we believe that while in Christ the fullest revelation has come to us, that same revelation as an anticipation and at times in a fairly fragmentary form is to be found in all human cultures and religions. And all cultures and religions exist only as local manifestations.

벨리-마티

요즘 자주—그리고 올바르게—지적되는 바와 같이, 오직 ‘로컬’인 것만이 ‘글로벌’이 될 수 있습니다. 또는 더 정확히 말하자면: 서로 상호공감적이고 비판적인 대화를 통해 다양한 지역적 해석과 관점이 지역의 ‘색깔’과 ‘맛’을 보존하면서도 인간의 경험과 관점의 풍부함을 증명합니다. 이러한 지역/세계의 상호성을 강조하는 한 가지 방법은 ‘글로컬’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기독교적 이해에서 자연계시는 신앙과 신학의 삼위일체적 기초를 타협하거나 약화시키지 않습니다: 기독교인으로서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가장 완전한 계시가 우리에게 왔지만, 그 동일한 계시가 모든 인간 문화와 종교에서 예고로서, 때때로 상당히 단편적인 형태로 발견 된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모든 문화와 종교는 오직 지역적 현상으로 존재합니다.

Contribution

Our International Public Theology in Forum-Center aims to advance public theology and social scientific studies of civil democracy, politics of recognition, and integrity of life-world in order to engage in science-religion interaction and comparative religions. Could you clearly explain what kind of contributions you would make to help create public theology within social scientific framework of comparative religions?

기여

포럼-센터의 인터내셔널 공공신학은 과학-종교의 상호작용과 비교종교를 다루기 위해 시민 민주주의, 인정정치, 생활세계의 통합성에 대한 공공신학과 사회과학적 연구를 발전시키는데 주력합니다. 교수님은 비교종교의 사회과학적 틀 안에서 공공신학을 창출하는데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명확히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Veli-Matti

One of my long-term interests intersecting with Public Theology—alongside comparative and constructive theology discussed above—has to do with the multifacted concept of “Recognition.” The concept of recognition seeks ways for diverse people, people groups, or followers of various religions, to both be “seen” and appreciated and also provide the same courtesy to the Other. This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concept and theory has in recent decades been applied to for example ecumenism, a fertile soil for learning how to recognize the Other without leaving behind one’s own deepest convictions. Alongside ecumenism, one of the my tasks is to seek resources from the Recognition paradigm also to issues discussed in the public sphere and among various religious convictions.

벨리-마티

공공신학과 교차하는 나의 장기적인 관심사 중 하나는 위에서 논의된 비교신학과 구성신학과 함께 ‘인정’이라는 다면적인 개념과 관련이 있습니다. 인정의 개념은 다양한 사람들, 사람들의 집단, 또는 다양한 종교의 추종자들이 서로를 ‘보고’ 감사함을 느끼게 하고, 또한 타인에게도 같은 예의를 제공하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이 철학적이고 사회학적인 개념과 이론은 최근 몇십 년 동안 예를 들어 에큐메니즘에 적용되어 왔으며, 이는 자신의 가장 깊은 신념을 버리지 않고도 타인을 인식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있어서 비옥한 토양이 됩니다. 에큐메니즘과 함께, 저의 임무 중 하나는 공적영역과 다양한 종교적 신념 사이에서 논의되는 문제들에 대해서도 인식 패러다임에서 자원을 찾는 것입니다.

International Public Theology in Forum-Center, Seoul Extension
공공신학과 시민사회 포럼 연구소

[04356] 서울특별시 용산구 새창로12길 11-18 용산제일교회 Tel. 02-717-069
Copyright(C) 2025 공공신학과 시민사회 포럼 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Produced by S.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