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orah Gordon: Ecology of Collective Behavior > 종교와 과학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종교와 과학

Deborah Gordon: Ecology of Collective Behavior

공공신학 2025-06-29  

Deborah Gordon: Ecology of Collective Behavior 


ab2e42e1a668a2f3f8cbf3e681b131bb_1750788533_55.jpg
 


In The Ecology of Collective Behavior, Deborah Gordon, professor of biology at Stanford University, presents a compelling ecolog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ow collective behavior emerges through dynamic relationships—both within and between systems. Central to her study is a systems approach that examines “how collective behavior at each layer is generated by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and how this responds to changing conditions” (p. 5). 


스탠퍼드 대학교 생물학 교수 데보라 고든은 『The Ecology of Collective Behavior』에서 집단 행동이 어떻게 역동적인 관계—시스템 내부와 시스템 간의 관계 모두—를 통해 나타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설득력 있는 생태학적 틀을 제시한다. 그녀의 연구의 핵심은 시스템 접근법에 있으며, 이는 “각 계층에서 집단 행동이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생성되며, 이러한 행동이 변화하는 조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Drawing on the etymology of ecology—from the Greek oikos, meaning “household” or “village”—Gordon explores how individual interactions give rise to collective ecological consequences, including phenotypic variation. These interactions shape the way natural selection influences behavioral patterns, suggesting that collective behavior is both a product and a driver of ecological dynamics. 


‘생태학’이라는 용어의 어원—그리스어 oikos, 즉 “가정” 또는 “마을”—에 착안하여, 고든은 개별적인 상호작용이 표현형의 다양성을 포함한 집단적 생태 결과를 어떻게 유발하는지를 탐구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자연 선택이 행동 양식을 형성하는 방식을 결정짓는 데 영향을 미치며, 또한 집단 행동이 생태 역학의 산물인 동시에 그것을 추동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This ecological framing resonates with sociological theories of social organization. Max Weber’s concept of the social group as a culturally stratified agent pursuing material interests through structured interactions offers a sociological lens through which to interpret oikos. Niklas Luhmann’s systems theory extends Weber’s insights by emphasiz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wherein social systems regulat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o maintain systemic coherence. 


이러한 생태학적 틀은 사회 조직에 관한 사회학 이론과 공명한다. 막스 베버의 사회 집단 개념은 문화적으로 계층화된 행위자가 구조화된 상호작용을 통해 물질적 이익을 추구하는 것으로서, oikos를 해석하는 사회학적 접근을 제공한다. 니클라스 루만의 시스템 이론은 베버의 통찰을 확장하며, 사회 시스템이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조절하여 시스템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기능적 차별화를 강조한다. 


Gordon’s ecology of collective behavior carries significant sociological implications: it illuminates how social interactions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goods and services within a group, while also encouraging dialogue on system regulation, inequality, and public value. For public theology, this perspective opens new pathways for examining collective behavior within the public sphere as stratified yet interactive systems—capable of fostering transformation through innovation, collaboration, and ecological solidarity. 


드보라 고든의 집단 행동 생태학은 중요한 사회학적 함의를 지닌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집단 내에서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밝히며, 동시에 시스템 규제, 불평등, 공공 가치에 대한 대화를 촉진한다. 공공 신학의 측면에서, 이것은 공공 영역 내에서 집단 행동을 계층적이면서도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으로 분석하는 새로운 경로를 열어준다. 이러한 시스템은 혁신, 협력, 생태적 연대를 통해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International Public Theology in Forum-Center, Seoul Extension
공공신학과 시민사회 포럼 연구소

[04356] 서울특별시 용산구 새창로12길 11-18 용산제일교회 Tel. 02-717-069
Copyright(C) 2025 공공신학과 시민사회 포럼 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Produced by S.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