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벨라: 사회학과 시스템 생물학 > 종교와 과학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종교와 과학

로버트 벨라: 사회학과 시스템 생물학

공공신학 2025-06-27  

Robert Bellah: Sociology and Systems Biology 


f34d6f82916aa1fbdb47c18924b8d277_1752366185_17.jpg
 



Robert Bellah, a leading American sociologist at UC Berkeley, made a groundbreaking contribution by bridging religious studies of the Axial Age with a systems biological approach. This achievement represents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e dialogue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particularly within the sociological study of religion and public theology, which are deeply connected to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religions. 



로버트 벨라는 버클리 대학의 저명한 사회학자로서, 축의 시대의 종교 연구와 시스템 생물학적 접근을 연결함으로써 획기적인 공헌을 했다. 이 업적은 과학과 종교 간의 대화에서 중요한 진전을 나타내며, 특히 종교의 사회학적 연구와 공공 신학의 영역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는 세계 종교의 비교 연구와도 깊이 연결되어 있다. 


From this perspective, a public theology of science emerges—one that aligns with a theology of nature. This approach allows the sociology of science to engage with and benefit from public theology, reinforcing a systems view of life and affirming ecological integrity. Such a position—recognizing the coexistence of multiple realities—offers a corrective to the limitations of sociobiology, which often rests on a reductionist framework and the “gene myth” as its explanatory core. 


이러한 관점에서 과학의 공공 신학이 등장하며, 이는 자연의 신학 (theology of nature)과 대화를 진척시킨다. 이러한 접근은 과학 사회학이 공공 신학과 상호작용하며 그로부터 유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생명에 대한 시스템적 관점을 강화하고 생태적 온전성을 확증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입장은 다차적 현실의 공존을 인정함으로써, 환원주의적 틀과 ‘유전자 신화 (gene myth)’를 설명의 핵심으로 삼는 사회 생물학 (sociobiology)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넘어선다. 




International Public Theology in Forum-Center, Seoul Extension
공공신학과 시민사회 포럼 연구소

[04356] 서울특별시 용산구 새창로12길 11-18 용산제일교회 Tel. 02-717-069
Copyright(C) 2025 공공신학과 시민사회 포럼 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Produced by S.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