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lepsis & Multicultural Education 1:1 (프로렙시스 창간호) 2025년 봄 > Prolepsis & Education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Public Journals

Prolepsis & Education

Prolepsis & Multicultural Education 1:1 (프로렙시스 창간호) 2025년 봄

공공신학 2025-07-18  

Prolepsis & Multicultural Education 1:1

Vol. 1, No. 1 (Spring 2025)


ISSN 3091-8502 (E-Bilingual Journal)


Editor's Note


The inaugural issue of Prolepsis & Multicultural Education features Craig Nessan and Paul S. Chung analyzing the current outlook for public theology in the United Stat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scholars affiliated with the Berkeley Forum Center. Ted Peters, professor emeritus at the Graduate Theological Union in Berkeley and co-founder of the Center for Theology and the Natural Sciences (CTNS), draws the concept of prolepsis into the center of Christian eschatological discourse. He connects God's creation from the future with the past and present, building a bridge between public theology and the epistemology of the natural sciences. In a stratified public sphere shaped by multicultural societies, public theology can no longer progress without addressing the achievements and issues of natural sciences and technology. Nessan and Chung expand the horizon of prolepsis by reconstructing the history and society of those marginalized in multicultural contexts, engaging in dialogue with postcolonial theory.


Ted Peters’ “2025 Update on Theology and Science” presents a concise yet significant reflection, evaluating the decades-long development of the dialogue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at CTNS from a public theology perspective, while opening up new areas of inquiry.


Paul S. Chung discusses sociology and public theology in relation to biological life and autopoiesis, challenging genetic determinism and its limitation in understanding the central role of the organism in the evolutionary process. A network and feedback loop at the cellular level facilitates conceptual clarity for articulating the dimension of symbiosis and the whole over the part. This insight provides public theology with a phenomenological framework in its approach to the reality of life.


편집장 노트


프로렙시스 & 다문화 교육 창간호는 크레이크 내산과 정승훈이 미국에서 공공 신학이 다루어지는 전망을 분석하고, 특히 버클리 포럼 센터에 관여하는 학자들의 입장을 소개한다. 테드 피터즈는 버클리 연합신학 대학원 명예교수와 신학과 자연과학 센터 (Center for Theology and Natural Sciences) 공동 창립자이다.  그는 프로렙시스 개념을 기독교 종말론의 중심으로 끌어들이고 미래로부터 하나님의 창조를 과거와 현재와 연결지으면서 공공신학을 자연과학의 인식론에 가교를 놓는다. 공공신학은 다문화 사회로 계층화된 공론장에서 자연과학과의 성과와 테크놀로지 문제를 다루지 않고는 더 이상 진척할 수가 없다. 크레이그 내산과 정승훈은 프로렙시스의 지평을 다문화 사회에서 밀려나간 자들의 역사와 사회를 재구성하며 포스트콜로니얼 이론과 대화를 한다.


테드 피터즈의 2025 신학과 과학의 업데이트는 지난 수십년동안 CTNS에서 발전시켜 온 종교와 과학의 만남을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새로운 영역을 개방하는 간략하지만 매우 중요한 내용을 담고있다.


정승훈 교수는 생물학적 생명과 자기 생성(self-organization)과 관련하여 사회학과 공공 신학을 논의하며, 유전적 결정론이 진화 과정에서 유기체의 중심적인 역할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지는 한계를 도전한다. 세포 수준에서의 네트워크와 피드백 루프는 공생의 차원과 부분보다 전체를 설명하는 데 있어 개념적 명료성을 촉진한다. 이 통찰은 공공 신학이 생명의 현실에 접근하는 데 있어 현상학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Contents

1. Craig L. Nessan and Paul S. Chung: Public Theology in an U.S. Context

https://youngsung.org/public_journals/public-theology-in-a-u-s-context/


2. Ted Peters: Theology and Science Update 2025 

https://youngsung.org/science-religion/theology-and-science-update-2025/

3.  Paul S. Chung, “Sociology, Systems Biology, and Culture

Reference: 바이링구얼 사이트


크레이그 내산/ 정승훈 Public Theology in a U.S. Context (북미에서 공공신학)

https://archeology.tistory.com/entry/Public-Theology-in-a-US-Context

테드 피터즈 Theology and Science Update 2025 (신학과 과학: 2025년 업데이트)

https://archeology.tistory.com/entry/Theology-and-Science-Update-2025

정승훈 Sociology, Systems Biology, and Culture (사회학, 시스템 생물학, 그리고 문화)

https://archeology.tistory.com/entry/Sociology-Systems-Biology-and-Culture




 



International Public Theology in Forum-Center, Seoul Extension
공공신학과 시민사회 포럼 연구소

[04356] 서울특별시 용산구 새창로12길 11-18 용산제일교회 Tel. 02-717-069
Copyright(C) 2025 공공신학과 시민사회 포럼 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Produced by S.L.I.M.